1. 🇰🇷 MSCI 선진시장 편입 로드맵 발표
- 한국 정부는 연내에 MSCI 선진시장 지위 편입을 위한 로드맵 마련 계획을 발표했습니다
- 외환·자본시장 접근성 개선과 글로벌 기준 부합, 시장 개방성 강화에 포커스를 둡니다.
- 이에 따라 KOSPI는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, 외국인 자본 유입 기대감이 커졌습니다.
2. 🏦 한은, 금리 인하 강한 시사
- 7월 10일 기준금리는 동결했지만, 3개월 내 25bp 인하 가능성을 공식 언급했습니다
- 1분기 경제 위축·미 관세 리스크·가계부채 상승이 배경입니다.
- 시장은 8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적극 반영하며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.
3. 🤝 한·미, 8월 1일 무역 협정 체결 추진
- 한국 정부는 “8월 1일 이전에 미국과의 개념적 무역협정(framework deal) 체결 가능성”을 언급했습니다 .
- 자동차·철강 관세 예고를 회피하기 위한 협상이며, 농업 개방이 일부 포함될 수 있습니다.
- 미국 측과 “in-principle” 합의 지향으로, 무역 불확실성 완화 기대가 형성됩니다.
4. 🌍 EU·한국, 미국과 협상 모색
- EU와 한국은 미국의 30% 관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협상 채널 가동 중
- 한국은 전 품목 25% 관세 적용 위기를 넘기기 위해 구조적 보호장치 확보 추진.
- 시장은 협상을 통해 관세 인상 가능성이 낮아질 수도 있다고 반응하고 있습니다.
5. 💵 외국인 자금, 아시아 증시 순유입
- 6월 외국인 투자자는 아시아 시장에 약 60억 달러 순유입, 한국·대만·인도 중심으로 자금 흐름 집중 .
- 기술·반도체 관련 주식이 강세를 보이며, 경기 부양 기대감을 반영했습니다.
- 다만 미 관세 변수는 투자 심리의 리스크 요소로 여전합니다.
💡 요약 테이블
이슈주요 내용
MSCI 편입 | 연내 로드맵 발표, 시장 접근성·투자환경 개선 추진 |
통화정책 | 금리 동결+인하 시사, 8월 단행 가능성 시장에 반영 |
한·미 무역협정 | 8월 1일 전 프레임워크 딜 체결 추진, 관세 회피 목표 |
EU·미 협상 | EU·한국, 미국과 협상 채널 가동…관세 위기 대응 중 |
외국인 자금 | 6월 아시아 증시에 60억 달러 유입, 기술주 중심 강세 |